토스, "비운의 스타트업" 타다 전격 인수…카카오T와 맞짱


링크

지분 60% 확보…연말 서비스
핀테크·모빌리티 시너지 기대

택시업계의 격한 반발에 시달리다 사업을 접어야 했던 ‘비운의 스타트업’ 타다가 핀테크업체 토스에 전격 인수됐다. 은행, 증권, 보험 등 금융업에서만 확장해 온 토스는 처음으로 이종(異種) 산업인 모빌리티(이동수단)에 진출하게 됐다.

토스 운영업체 비바리퍼블리카는 타다 운영업체 VCNC 지분 60%를 확보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맺었다고 8일 발표했다. VCNC는 차량공유업체 쏘카가 지분 100%를 갖고 있다. 이번 인수합병은 VCNC가 발행한 신주를 비바리퍼블리카가 사들이는 방식으로, 구체적인 투자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토스는 “이달 주식매매계약을 마무리하고, 올해 말 새단장한 타다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토스 창업자 이승건 대표는 “국내 택시시장 연간 매출 12조원 중 절반 정도가 호출 앱을 통해 이뤄지고 있어 토스의 결제사업 등과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했다. 모빌리티와 핀테크의 결합은 세계적 추세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그랩이 이런 전략으로 동남아시아 1위 모빌리티 사업자에 오른 것이 대표적이다.

‘피를 섞은 관계’가 된 토스, 타다, 쏘카는 각자 브랜드를 유지하며 공동 마케팅을 강화하기로 했다. 토스는 2000만 명, 쏘카와 타다는 900만 명 안팎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타다는 2018년 11인승 승합차를 이용한 차량호출 서비스로 돌풍을 일으키며 가입자를 한때 170만 명까지 늘렸다. 하지만 택시단체와 갈등이 깊어지고 국회가 ‘타다 금지법(여객운수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면서 이 사업을 중단했다. 지난해 가맹택시 ‘타다 라이트’를 내놓고 재기를 노려왔다. 타다의 확장이 좌초된 이후 국내 차량호출 시장에서는 카카오T가 압도적 1위를 굳힌 상태다. 핀테크 시장에서 격돌했던 카카오와 토스는 모빌리티 시장에서도 맞붙게 됐다.

토스, 핀테크+모빌리티로 ‘한국판 그랩’ 도전
카카오T와 맞짱
“사업모델이 고착화된 시장에 진출해 혁신적 서비스를 제시하는 것, 그게 토스가 창업 후 지속적으로 해온 일입니다. 이번 인수 역시 같은 맥락입니다.”

토스 창업자 이승건 대표는 8일 타다를 인수하게 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포화 상태’ 소리를 듣던 은행, 증권, 보험 등에 진입해 새바람을 일으킨 경험을 모빌리티(이동수단) 시장에서 재현해 보이겠다는 것이다. 국내 차량 호출 앱 시장은 카카오가 꽉 잡고 있다. 카카오T 월간 이용자는 1016만 명으로 타다(9만 명)는 물론 SK·우버의 합작사업인 우티(86만 명)와도 격차를 크게 벌렸다.

“교통+결제 얹으면 큰 시너지”
토스 측 분석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들은 택시비로 연간 12조원을 쓴다. 이 중 절반이 카카오T, 우티, 타다와 같은 차량 호출 앱을 매개로 이뤄진다. 결제·송금액 규모를 불리는 데 집중하고 있는 핀테크 기업들로선 군침을 흘릴 만한 시장이다. 하지만 카카오T에서는 카카오페이와 연동한 자동결제가 보편화돼 토스가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다. 후발주자 인수에 관심을 보이게 된 배경이다.

세계적인 핀테크 기업들이 모빌리티와 적극적으로 결합해 성장했다는 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이 금융회사와 공동 사업을 추진하는 게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동남아시아 최대 사업자인 그랩은 2018년 그랩파이낸셜을 설립하며 금융업에 진출했고, 결제·쇼핑·예약·보험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토스 관계자는 “타다를 인수했다고 해서 모빌리티가 본업(本業)이 될 수는 없겠지만 핀테크 사업의 외연을 넓히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토스 운영업체 비바리퍼블리카는 타다 운영업체 VCNC 지분 60%를 확보해 경영권을 쥘 예정이다. VCNC의 기존 모회사 쏘카는 40% 지분을 남겨 협력 관계를 유지한다.

쏘카는 타다를 왜 팔았나
VCNC는 2011년 커플 전용 SNS ‘비트윈’을 개발한 업체로 2018년 쏘카에 인수됐다. 이후 모빌리티로 사업 아이템을 바꿔 호출 거부 없는 이동수단 ‘타다 베이직’으로 인기를 누렸다. 하지만 지난해 국회에서 일명 ‘타다 금지법’으로 불리는 여객운수법 개정안이 통과되며 VCNC는 타다 베이직 서비스를 종료</span<해야 했다. 같은 해 10월 가맹택시 ‘타다 라이트’ 서비스를 선보이며 재기를 노렸지만 VCNC는 2020년 매출 59억원, 순손실 112억원을 냈다. 매출 109억원, 순이익 4억원을 기록한 2019년에 비해 악화된 수치다.

내년 기업공개(IPO)를 준비하고 있던 쏘카는 결단을 내려야 했다. 쏘카는 지난해 사상 최고 매출(2598억원)을 기록했지만 VCNC의 적자 등이 반영되면서 599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쏘카로선 가맹택시 수 확장, 앱 서비스 고도화 등 투자가 더 필요한 VCNC를 매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카카오 움츠릴 때, 발 넓힌 토스
VCNC로서도 핀테크 서비스를 뒷받침할 수 있는 비바리퍼블리카와 한배를 타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차량 호출 플랫폼이 배달, 퀵서비스 등으로 확장할 때 모든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금융 결제수단이 필요하다. 외부 금융사에 의존하면 서비스 고도화의 핵심인 데이터를 직접 확보할 수 없게 된다. 금융업을 자체 운영하면 차량을 이용하는 승객과 기사들을 대상으로 대출, 보험 등 금융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회도 모색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카카오모빌리티의 사업 확장엔 제동이 세게 걸린 상황이다. 카카오가 정치권 비판을 의식해 몸을 사리는 가운데 카카오모빌리티도 예정돼 있던 전화 대리운전 업체 두 곳의 인수를 포기했다.

임현우/구민기 기자 tardis@hankyung.com


2. 키워드 : #스타트업 #쏘카 #타다 #비바리퍼블리카 #토스 #금융 #모빌리티

3. 요약 : 쏘카 순손실 599억원에 ‘타다’ VCNC 매각, 토스 새로운 금융 모빌리티 기업으로 !

4. 궁금한 점 : 순손실, 토스의 영업손실, 토스는 영업손실이 725억원인데 투자 가능하다 ! 기업공개라는 환경, 금융모빌리티라는 비전 등이 이번 매각에 영향을 미친 것 같은데, 단순히 타다 모빌리티 결제를 토스로하는게 수익으로 직결될지 의문이다. 다만, 모빌리티 이용내역을 토스가 많이 가지고있을 수 있게 될텐데, 이 데이터를 활용해서 카드상품 등의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할 때 고객 데이터(로그(?))를 마음대로 써도 되는지 궁금하다.

1 기업 내부 데이터라 기업 내부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때는 써도 되는지.. 2 비바리퍼블리카-VCNC-쏘카 처럼 연결된 경우 서로 데이터를 그냥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 2021. by Zoo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