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AI 아바타가 번 돈으로 11번가 쇼핑…SK "블록체인 세상" 열린다
22.03.23. 한국경제 선한결 기자
SK스퀘어, 암호화폐 발행한다
10대 그룹 계열사 중 최초
“블록체인 경제체계 구축”
SK그룹 투자전문기업인 SK스퀘어가 자체 암호화폐를 발행한다. 메타버스, e커머스(전자상거래), 콘텐츠 등 전방위에 걸쳐 SK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를 두루 연결하는 블록체인 기반 가상경제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SK스퀘어가 암호화폐를 발행하면 국내 10대 그룹 계열사가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최초 사례가 된다.
2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SK스퀘어는 최근 암호화폐 사업 등을 담당하는 블록체인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암호화폐 발행 작업에 들어갔다. 연내 암호화폐 발행을 목표로 자체 법률 검토를 마쳤다.
SK스퀘어는 새 암호화폐를 관계사 SK텔레콤의 메타버스 서비스, 통신 기반 구독서비스와 연동할 계획이다. SK스퀘어 자회사인 11번가, SK플래닛, 티맵모빌리티, 콘텐츠웨이브 등 SK ICT 플랫폼 기업을 통해서도 암호화폐를 쓸 수 있게 한다. 대다수 암호화폐가 가상경제에 기반을 둔 것과 달리 암호화폐로 가상과 실물을 넘나드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다.
SK그룹 중간지주사 격인 SK스퀘어는 작년 말 SK텔레콤에서 인적분할 방식으로 독립했다. 이 회사는 출범과 동시에 가상자산거래소 코빗에 873억원을 투자해 지분 35%를 인수하는 등 블록체인·암호화폐 시장 진출을 준비해왔다.
국내외 암호화폐 시장은 관련 제도 미비, 시장 불안정성 등의 논란을 뚫고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금융정보분석원에 따르면 작년 말 국내 암호화폐 시장 규모는 55조2000억원에 달했다. 하루 평균 거래액은 11조3000억원으로 코스닥시장 거래대금(11조8500억원)과 맞먹는다.
SK스퀘어, 가상-현실 잇는 통합 경제 생태계 구축 코빗·웨이브·티맵·11번가와도 협업…활용도·신뢰성 확보해 우위 점유
‘SK텔레콤의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에서 내 디지털 아바타를 꾸미는 신발 아이템을 직접 만든다. 플랫폼이 아이템 창작 대가로 지급한 암호화폐를 모아뒀다가 e커머스 플랫폼 11번가에서 ‘진짜’ 신발을 구입한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구독료를 결제할 때도 이 암호화폐를 현금처럼 쓴다.’ SK스퀘어가 구상하는 자체 블록체인 기반 가상경제 생태계가 확산하면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다.
SK스퀘어는 이를 구현하기 위해 SK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전방위 지원사격을 받아 암호화폐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암호화폐 사업의 성패를 가르는 요소로 꼽히는 △활용도 △신뢰성 △안정성을 초반부터 확보해 시장 생태계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다.
SK텔레콤 블록체인 노하우 활용
SK스퀘어는 우선 SK텔레콤의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화폐 체계를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은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기술로 각종 분산신원증명(DID)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대학과 금융권을 비롯해 통신업 등 각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노하우도 갖추고 있다. 이를 암호화폐 생태계 구축에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자체 암호화폐 이용자 기반을 늘리는 데는 SK스퀘어 자회사와 관계사가 나선다. SK스퀘어는 11번가(e커머스), 티맵모빌리티(모빌리티), 콘텐츠웨이브(영상 콘텐츠), SK플래닛(포인트·멤버십)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이들 플랫폼을 활용하면 다른 암호화폐 생태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고 빠르게 수요를 창출하고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들 기업이 전방위 협력을 벌이는 이유는 또 있다. 새 암호화폐의 신뢰성 확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암호화폐 시장 전문가는 “새로운 암호화폐 확산 여부는 발행 기업의 신뢰도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SK 계열 ICT기업을 암호화폐 생태계에 여럿 엮어 놓으면 암호화폐 발행 기업이 보유 중인 코인을 갑자기 대량 매도할 가능성 등 ‘먹튀’ 우려를 불식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분석했다.
‘AI+메타버스’ 승부수
새 암호화폐 생태계는 SK텔레콤이 중장기 신규 먹거리로 보고 있는 인공지능(AI) 메타버스 아이버스에도 쓰일 전망이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이달 초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2’에 맞춰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프랜드에 블록체인 기반 자체 경제체계를 들일 것”이라며 “플랫폼에 개방형 장터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궁극적으로는 플랫폼 고도화를 통해 개인의 디지털 세상 아바타 격인 ‘AI 에이전트’가 메타버스에서 스스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하고, 여기서 나온 수익·보상을 서비스 이용자가 현실에서 쓸 수 있게 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선 메타버스 세계와 현실을 이어줄 암호화폐가 필수다. 이프랜드가 SK스퀘어의 암호화폐를 도입하면 메타버스 콘텐츠를 즐기거나 플랫폼에 올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해 돈을 버는 ‘플레이앤드언(PNE)’ ‘크리에이트앤드언(CNE)’ 체계를 갖추게 된다.
ICO 추진…“국내 우선 상장 가능성”
복수의 ICT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SK스퀘어의 이 같은 암호화폐 생태계 구상은 이미 기반 작업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다. 이날 SK플래닛은 코빗과 블록체인 서비스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K플래닛의 포인트·멤버십 기반 플랫폼을 블록체인 사업에 연계한다는 내용이다.
SK텔레콤도 최근 사업 내 암호화폐 활용을 부쩍 늘리고 있다. 이달 초엔 SK텔레콤이 자사 멤버십 프로그램 행사인 T데이 프로모션을 코빗과 함께 열었다. SK텔레콤은 앞서 코빗의 메타버스 플랫폼 코빗타운을 SK텔레콤의 메타버스 이프랜드와 연동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SK스퀘어는 암호화폐를 발행한 뒤 이를 거래소에 상장하는 암호화폐공개(ICO) 절차도 밟을 것으로 알려졌다.
가상자산업계 관계자는 “현시점에선 국내 ICO가 사실상 막힌 상태이기 때문에 암호화폐를 발행한 뒤 해외에서 ICO를 하거나, 당분간 국내 규제 추이를 지켜보는 두 선택지를 함께 검토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